지식 2020년 톱 핀테크 250개 기업 리스트 CB 인사이츠가 2년 만에 다시 2020년 톱 핀테크 250개 기업 리스트 보고서를 발간했습니다. (The Fintech 250: The Top Fintech Companies of 2020). 금융 서비스 분야는 계속해서 기술 기업들을 유치하여 사람들과 기업들의 지불, 저축, 대출, 투자 등을 변화시키고 있죠. 자본 시장에서 보험 및 디지털 뱅킹, 자산 관리에 이르기까지 Fintech 250은 세계에서 가장 유망한 기업들을 리스트업 했습니다.
지식 ‘선구매 후결제 (BNPL)’, 신용카드 할부와 다른가요? 해외 직구를 자주 하시는 분들이면 사이트 내 표시된 이 문구를 한 번쯤 보신 기억이 있을 것입니다. 최근 해외에서는 BNPL이라고 불리는 선구매 후결제 서비스가 증가하고 있는데요, 무이자나 낮은 비용으로 할부 구매를 할 수 있는 서비스입니다. 업체가 가맹점에 판매대금을 선지급하고, 고객은 해당 금액을 일정 간격 나눠 업체에 납부하는 서비스로 신용카드를 이용하기 어려운 고객들도 저렴한 비용으로 이용할 수 있다는 것이 특징입니다.
지식 코로나바이러스가 앞당기고 있는 현금없는 사회 이전에는 현금 없는 사회라는 개념은 공상 과학 소설에서나 볼 수 있는 것이었지만, 전자 상거래가 활성화되고 은행 업무도 유연성이 생기며 실제 상점에서도 ‘현금 사용 불가’라는 안내문을 볼 수 있을 정도로 흔한 것이 되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Fintech 매거진의 기사를 기반으로 현금 없는 사회의 장단점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지식 영국정부의 ‘미래펀드’ 지원을 받은 핀테크 스타트업은? 영국 정부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으로 인해 타격을 받은 스타트업을 재정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고성장 스타트업을 위한 5억 파운드 규모의 ‘미래 펀드 (Future Fund)’조성을 통해 초기 단계 스타트업을 지원하기로 했으며 연구개발에 중점을 둔 중소기업에 7억 5,000만 파운드를 지원하기로 했습니다.
지식 [심층리포트 2] 오픈뱅킹 이후, 오픈엑스(Open X)의 시대가 온다 그렇다면 은행이 금융 서비스 생태계에서 우위를 유지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Capgemini의 보고서에서는 은행이 API 표준화에 적극적으로 참여해야 한다고 설명합니다.
지식 [심층리포트 1] 오픈뱅킹 이후, 오픈엑스(Open X)의 시대가 온다 오픈뱅킹은 은행의 송금, 결제 망을 표준화시키고 개방하여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으로 모든 은행의 계좌 조회, 결제, 송금 등을 할 수 있는 금융 서비스입니다. 오픈뱅킹은 2019년 12월 전면 시행 이후 2020년 6월 기준 4,000만 명 이상, 중복가입자 수 제외 하더라도 2,000만 명 이상(경제활동 인구 대비 72%)이 사용하고 있습니다.
지식 프롭테크, 그것이 궁금하다 프롭테크라는 말 들어보셨나요? 생소하시겠지만 우리 주변에서 아주 쉽게 접할 수 있는 테크 서비스 중 하나가 프롭테크입니다. 프롭테크는 부동산을 뜻하는 Property와 기술을 뜻하는 Technology의 합성어로 부동산에 관한 업무들이 기술과 접목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지식 스웨덴과 핀테크 사회 스웨덴은 정부의 핀테크 육성정책으로 ‘2030년까지 현금 없는 사회’를 목표로 적극적인 핀테크 육성정책을 펴왔으며, 이로 인해 상점들은 손님들에게 현금결제를 거부할 수 있게 되어 현금 없는 매장의 숫자가 폭발적으로 증가했습니다.
지식 2020년, 디지털 은행 침략의 해 상반기, 코로나의 영향으로 전통적인 은행들의 디지털 전환 속도는 예상했던 것보다 훨씬 빨라졌습니다. 하지만, 아직 전통적인 은행들은 혁신과 기술로 무장한 온라인 은행 및 핀테크 회사들에 대항할 만한 출구를 찾지 못한 것 같습니다. 아마도 초조해하고 있을 것입니다
지식 코로나 시대, 영국의 핀테크 환경은? 영국은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규제 개혁 요구가 높아졌고 대중의 금융서비스에 대한 인식 전환도 빠르게 이어졌습니다. 2013년 4월, 영국 정부는 FCA (Financial Conduct Authority)를 설립해 금융 서비스 산업 내 경쟁을 촉진하도록 했으며 금융 소비자와 시장을 보호하는 역할을 했습니다.
지식 빅데이터와 핀테크 흔히 데이터를 다량으로 취급할 때 빅데이터라는 개념을 많이 사용하는데요, 단순히 데이터가 많으면 빅데이터라고 지칭해도 되는 것일까요? 빅데이터의 정확한 개념은 무엇일까요?